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부] 교사의 생존권과 자율성: 무너진 현장 되살리기

by 닥터펭 2025. 5. 11.
반응형

 

오늘날 대한민국 교실은 어느 때보다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수업 시간에도 ‘고소’와 ‘민원’이 떠오르고, 생활지도가 범죄로 오인되는 상황.

 

이제는 교사의 생존권과 교육권을 회복해야 할 때입니다.


1. 교권은 왜 무너졌는가?

교권의 붕괴는 단순한 사안이 아닙니다.

교총은 다음과 같은 원인을 지적합니다:

  • 📌 민원 과잉 → 교사 위축 → 생활지도 기피
  • 📌 '학생 인권' 강조에 치우친 법제도
  • 📌 교육당국의 소극적 대응과 책임 회피
“수업보다 민원 방어가 더 중요해진 교실에서, 진정한 교육은 사라지고 있습니다.” — 교사 인터뷰

2. 교총이 제안한 현실적 대책

✔️ 교육활동 보호법 전면 시행

법은 있지만 적용이 느슨합니다.

‘교권 침해’ 발생 시 즉각 조사·조치 의무가 필요합니다.

✔️ 정당한 생활지도는 처벌 대상이 아니다

‘지적’과 ‘체벌’, ‘훈육’과 ‘폭력’의 기준이 모호해진 현재,

교사가 법적으로 위축되지 않도록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합니다.

✔️ 교사 대상 괴롭힘·폭언 처벌 강화

학생뿐 아니라 학부모와 외부 민원으로부터의 보호도

교원의 업무환경 보장을 위한 기본입니다.


3. 교원 양성·자격 제도의 구조적 문제

현재의 교원 양성 체계도 문제입니다:

  • 🔸 초등 중심 자격 구조 → 과목 전문성 부족
  • 🔸 교육대학·사범대 이원화 → 체계 단절
  • 🔸 교원 연수 시스템 낙후 → 디지털 대응력 미흡

미래 교육은 '자율+전문성'을 갖춘 교사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교총은 교사 양성과 연수 체계를 ‘현장 중심’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4. 교사-학부모-학생: 균형의 회복

가장 민감한 부분이자, 가장 중요한 문제입니다.

🏫 교사는 권위의 대상이 아닌, 교육 파트너

👨‍👩‍👧 학부모는 소비자가 아닌, 협력자

 

🧒 학생은 보호 대상이자, 책임 주체

 

이 세 주체 간 ‘역할과 책임의 균형’을 회복해야

학교는 다시 교육의 장이 될 수 있습니다.


5. 결론: 교사가 살아야 교육이 산다

교사는 ‘직원’이 아니라 ‘교육의 중심’입니다.

교사의 자율성과 존엄성이 무너진 학교는

아무리 좋은 제도와 기술이 도입되어도 무너질 수밖에 없습니다.

 

💬 3부에서는 AI 시대 학습자 중심 교육과 디지털 전환, 대입 개혁의 방향성을 다뤄보겠습니다.